농가진(impetigo)은 세균 감염으로 인해 피부에 발생하는 전염성 피부 질환입니다. 주로 황색포도상구균(Staphylococcus aureus) 또는 연쇄상구균(Streptococcus pyogenes)에 의해 발생하며, 어린이에게 흔하지만 성인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.
1. 농가진 증상
농가진은 물집형(수포형)과 비수포형(딱지형)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
(1) 비수포성 농가진(딱지형, 가장 흔한 유형)
✅ 초기 증상:
- 얼굴(특히 코와 입 주변)이나 팔다리에 작은 붉은 반점이 생김
- 반점이 빠르게 노란색 또는 갈색 딱지(crust)로 변함
- 주변 피부가 붉어지고 가려움 발생
✅ 진행 증상:
- 딱지가 두꺼워지면서 번짐
- 가려워서 긁으면 손이나 다른 부위로 감염 확산
- 통증은 거의 없지만 가벼운 따가움이 있을 수 있음
(2) 수포성 농가진(물집형, 드문 유형)
✅ 초기 증상:
- 작은 **물집(수포)**이 피부에 생기고 투명한 액체가 차 있음
- 물집이 쉽게 터지고, 이후 노란색 액체가 흐르면서 딱지 형성
✅ 진행 증상:
- 물집 주변이 붉고 염증 발생
- 체액이 나오면서 주변 피부로 감염 확산
- 발열, 림프절 부종(심한 경우)
2. 농가진 원인 및 감염 경로
✔ 세균 감염: 황색포도상구균(Staphylococcus aureus), 연쇄상구균(Streptococcus pyogenes)
✔ 접촉 감염: 피부에 난 상처, 벌레 물림, 아토피 피부염 부위를 통해 세균 침입
✔ 전염성 강함: 감염된 사람과의 피부 접촉, 감염 부위를 만진 손을 통해 확산
✔ 고온·다습한 환경에서 발생 빈도 높음 (여름철, 유치원·학교에서 흔함)
3. 농가진 치료 방법
(1) 항생제 연고 사용
- 무피로신(Mupirocin) 연고: 1일 2~3회 감염 부위에 도포
- 퓨시드산(Fusidic acid) 연고: 세균 증식을 막음
(2) 경구 항생제 복용 (심한 경우)
- 페니실린계 항생제(아목시실린-클라불란산)
-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(세파졸린, 세프레록심 등)
- 에리트로마이신(페니실린 알레르기 있는 경우 사용)
(3) 청결 유지
- 감염 부위를 비누와 물로 부드럽게 씻고 깨끗한 수건으로 닦기
- 손 씻기 생활화: 감염 부위를 만진 후 손을 깨끗이 씻어 전염 예방
(4) 딱지 제거 금지
- 일부러 딱지를 떼면 흉터가 남거나 2차 감염 위험 증가
-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둬야 함
(5) 감염 확산 방지
- 감염 부위를 붕대나 깨끗한 거즈로 덮어 2차 감염 예방
- 수건, 베개, 옷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 금지
4. 농가진 예방법
✔ 손 씻기 철저히 하기
✔ 상처가 난 경우 즉시 소독하고 연고 바르기
✔ 아이들 피부 긁는 습관 방지 (손톱 깎기 중요)
✔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피부 접촉 피하기
✔ 수건, 침구류 자주 세탁하여 청결 유지
5.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
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방문 필요:
- 항생제 연고를 사용해도 증상이 3~5일 이상 지속됨
- 물집이 크게 번지거나 고름이 심함
- 발열(38도 이상) 또는 림프절 부종 발생
- 치료 후에도 반복적으로 재발
농가진은 빠른 치료가 중요!
농가진은 전염성이 강하지만 항생제 치료로 쉽게 호전되는 피부 감염입니다.
초기에 깨끗하게 관리하고 항생제 연고 치료를 병행하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.
✔ 초기 치료가 중요! 빠르게 항생제 연고 사용
✔ 딱지 뜯지 않기! 흉터 및 2차 감염 예방
✔ 전염 주의! 손 씻기, 수건·침구 공유 금지
빠르게 대처하면 1~2주 내에 완치 가능하니 증상이 있다면 바로 치료를 시작하세요!